공간정보 기술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국가기술자격인 공간정보융합기능사와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 자격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이 두 자격증의 특징과 시험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시험 개요
공간정보융합기능사와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. 이 자격증들은 공간정보 데이터의 수집, 가공, 분석, 그리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능력을 평가합니다.
주요 업무
- 공간정보융합기능사: 공간정보 데이터 수집, 가공, 분석 업무 수행
-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: 공간정보 서비스 및 콘텐츠 개발, 중간 관리자 역할 수행
시험 응시자격
공간정보융합기능사
- 제한 없음 (학력, 경력, 연령 무관)
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
- 관련 학과 전문대학 졸업(예정)자
- 관련 학과 4년제 대학 2학년 이상 수료자
- 관련 분야 기능사 자격 취득 후 1년 이상 실무경력자
- 관련 분야 2년 이상 실무경력자
시험 구성
공간정보융합기능사
- 필기시험
- 과목: 공간정보 자료수집 및 가공, 분석
- 문항: 객관식 4지 선다형, 60문항
- 시간: 60분
- 합격기준: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- 실기시험
- 과목: 공간정보융합 실무
- 형식: 필답형
- 시간: 2시간
- 합격기준: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
- 필기시험
- 과목: 공간정보분석, 공간정보서비스프로그래밍, 공간정보 융합콘텐츠 개발
- 문항: 객관식 4지 선다형, 과목당 20문항(총 60문항)
- 시간: 과목당 30분(총 90분)
- 합격기준: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- 실기시험
- 과목: 공간정보융합서비스 및 콘텐츠 개발 실무
- 형식: 필답형
- 시간: 3시간
- 합격기준: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2025년 시험 일정
공간정보융합기능사
- 필기시험: 2025년 9월 초 예정
- 실기시험: 2025년 11월 중순 예정
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
- 제1회: 필기 2025.2.15~3.7, 실기 4.27~5.17
- 제2회: 필기 5.9~5.28, 실기 7.28~8.14
- 제3회: 필기 7.5~7.27, 실기 10.19~11.8
시험 접수 방법
두 자격증 모두 한국산업인력공단 Q-Net 홈페이지(www.q-net.or.kr) 온라인으로 접수합니다. 접수 기간은 시험 약 한 달 전부터 시작되며, 정확한 날짜는 Q-Net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응시 수수료
공간정보융합기능사
- 필기: 14,500원
- 실기: 17,200원
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
- 필기: 19,400원
- 실기: 20,800원
준비 전략
- 이론 학습: 공간정보 기초, GIS, 측량학 등 관련 이론을 철저히 학습합니다.
- 소프트웨어 실습: QGIS, ArcGIS 등 GIS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익힙니다.
- 기출문제 분석: 과거 시험 문제를 풀어보며 출제 경향을 파악합니다.
- 실무 능력 향상: 데이터 수집, 분석, 가공 등 실제 업무와 유사한 과제를 수행해봅니다.
- 시간 관리 연습: 제한된 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합니다.
- 최신 동향 파악: 공간정보 기술의 최신 트렌드와 응용 사례를 학습합니다.
- 스터디 그룹 활용: 다른 응시자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학습합니다.
공간정보융합기능사와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 자격증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공간정보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 체계적인 준비와 실습을 통해 자격증 취득에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.